제품혁신

바이오로직스가 뭐야? 백신.항암제.아토피약까지, 당신이 이미 먹은 그 약

광명 달인 2025. 5. 28. 16:13
반응형

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궁금증 풀이

바이오로직스? 바이오시밀러?

 

요즘 뉴스나 병원, 증권 투자를 하다 보면 '바이오로직스'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다소 생소하지만 우리가 맞는 코로나 백신, 항암제, 피부질환 치료에 쓰이는 듀피젠트도 모두 바이오로직스(Biologics)입니다.

 

이 글에서는 바이오로직스가 무엇인지, 어떻게 제조되는지, 어떤 약들이 있는지, 또 바이오시밀러와는 어떻게 다른지 생활 속 정보로 소개합니다.

 

1. 바이오로직스란 무엇인가요?

바이오로직스는 말 그대로 생물학적 제제를 기반으로 한 의약품입니다. 전통적인 합성의약품(예: 진통제, 감기약)과 달리, 바이오로직스는 세포·단백질·DNA 등 생물 유래 성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개발과 제조가 훨씬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대표적인 바이오로직스 의약품

  • 코로나19 백신(mRNA)
  •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
  •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
  • 자가면역 치료제 휴미라

2. 바이오 의약품은 왜 비싼가요? 보험은 적용되나요?

복잡한 제조 공정

  • 생물학적 제제는 무균 조건에서 세포 배양 등 고급 기술이 필요

많은 연구개발 비용

  • 한 제품 개발에 수천억 원의 R&D 비용 소요

냉장 유통 필수

  • 생산 후에도 콜드체인이 필요

바이오로직스 건강보험 적용 여부

  • 다행히 바이오 의약품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암 치료제, 희귀질환 치료제는 최대 90%까지 보험이 적용됩니다.
반응형

3. 바이오시밀러란? - 똑같은 약, 더 저렴한 선택지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는 오리지널 바이오로직스의 복제약으로 효과는 거의 같지만 가격은 저렴합니다.

한국의 바이오시밀러 제조 대표기업 셀트리온이 만든 램시마는 세계 최초의 바이오시밀러로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에게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시밀러는 바이오로직스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더 많은 환자가 치료 기회를 얻고 건강보험 재정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4.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은 뭐하는 회사?

한국에서 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시밀러를 대표하는 두 기업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로온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 글로벌 제약사의 바이오 의약품을 위탁생산(CDMO)하는 회사입니다.
  • 고객사 중에는 일라이 릴리, 존슨앤존슨, 머크, 애브비, 로슈, 화이자, 모더나 등의 글로벌 제약사가 있습니다.
  • 2024년 매출액은 4조5473억원(전년대비 23.1% 증가)으로 국내 바이오제약업계 매출 1위 기록

셀트리온

  • 직접 바이오로직스를 개발하고 바이오시밀러 제품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로 류마티스 관절염 및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램시마',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쥬마', 비호지킨 림프종 '트룩시마' 등
  • 2024년 매출액은 3조5573억원(전년대비 63.5% 증가)으로 국내 바이오제약업계 매출 2위 기록

5. 바이오로직스 산업, 취업과 투자 전망

바이오로직스는 취업과 투자에서 K바이오의 미래입니다.

 

취업

  • 생명과학·화학·약학 분야 전공자에게 유리
  • 품질·생산공정 관리, 연구개발, 임상관리 등 직무 다양
  • 정책적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위해 R&D 집중 지원

투자

  • 자체 기술개발 및 생산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투자 유망
  • 바이오 ETF 및 공모펀드 투자 가치 높음
반응형

FAQ (자주 묻는 질문)

Q. 바이오로직스는 무슨 뜻인가요?

  • 바이오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을 로직스는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Q. 바이오 의약품은 약국에서 살 수 있나요?

  • 대부분 전문의약품으로 병원에서 처방 후 약국 수령하거나 병원 내 투약됩니다.

Q. 건강보험 적용이 다 되는 건가요?

적응증(질환)과 약제 등재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항암제, 희귀 질환 치료제는 건강보험 적용 비율이 높습니다.

반응형